1. 가치관이 맞는가? 🤝배우자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가치관의 일치입니다. 돈, 가족, 일, 삶의 방향성에 대한 생각이 비슷해야 갈등을 줄일 수 있습니다.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가진 사람과 함께하는 것은 많은 타협과 노력이 필요하며, 갈등이 잦을 가능성이 큽니다. 따라서 연애 초기부터 가치관에 대한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.2. 감정적 안정성과 책임감 💖배우자는 단순한 연인이 아니라 인생의 동반자입니다. 감정 기복이 심하거나 책임감이 부족한 사람과 함께하면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 서로에게 안정감을 주고, 신뢰를 쌓을 수 있는 사람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특히 위기 상황에서의 태도를 살펴보면 상대방이 얼마나 성숙한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.3. 경제관념과..
지은이 : 강규남 ( 결혼 상담사협회 회장, 결혼정보회사 (주) 두리모아 CEO ) 결혼상담사 - 노동부 선정 21C 유망직종 이 책은 다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결혼문화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상담해 주는 결혼상담사들을 위한 지침서 저자는 다년간 결혼정보회사를 운영하면서 터득한 경험과 상담학을 공부하면서 쌓은 학문적 이론을 바탕으로 결혼상담에 꼭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담음 노동부가 선정한 21C 유망직종 중 하나인 ‘결혼상담사’는 행복한 가정을 만드는 전령사로서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직업이며 그만큼 매우 비전이 밝은 직종. ----- 목차 ----- 제 1장 결혼분석 및 상담 1. 결혼 분석학 2. 가족법 3. 결혼상담 4. 결혼상담의 원리 및 기법 제 2장 결혼상담사 1. 결혼상담사의 자..
성폭력상담원 교육과정[64시간] -여성가족부인증 날 짜 과 목 과 정 내 용 강 사 12월 17 가족상담 성폭 개강식, 한국의 성문화 이해 박효순 18 성폭 성폭력의 가해자⋅피해자 심리이해 이목희 20 성폭 나의성인식관찰하기 성폭력관련 영화감상 및 토론 김현정 21 가족치료이론 성폭 가족치료이론 - 구조적,해결중심 가족치료 이진숙 24 성폭 성폭력 및 성 매매 현황과 접근방법 김미령 27 성폭 가족치료의 실제 - 드라마게임 구미례 28 인간발달이론 성폭 Erikson, Kohut 의 발달이론 박효순 31 성폭 인지-행동요법,현실요법/합리-정서적상담 박효순 1월 3 상담사례연구 성폭 성폭력 유형별 사례발표 (사이버상담) 4 성폭 성폭력 유형별 사례발표 (전화상담) 김미령 7 성폭 면접상담 역할연습 8 상담..
제17회 결혼상담사 2급 자격과정 “결혼 심리상담사” (결혼컨설턴트)는 결혼예정자(초혼,재혼)를 대상으로 하여 상대에게 적합한 이성 대상을 주선하고 인간관계의 모든 다양한 전문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만남 절차를 카운슬링 해주고 결혼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문가를 말한다. 결혼 심리상담사는 노동부 선정 21세기 남녀 유망직종으로 만남을 소중히 여기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면서 ‘심리상담사’는 갈수록 인기가 높아지므로, 경륜을 쌓을수 록 가치가 더욱 높아지는 직업이다. 특히 결혼 이후라도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직 업이며 삶의 질에 욕구와 질 높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잠재력을 개발시켜 결혼상담 사 유료강사 및 프리랜서로 활동할 수 있고, 창업으로도 30대에서 50대 여성의 유망 직종이다. ◎ 교육일정 및 ..
‘누군가를 사랑하는 감정’은 저에게 ‘나 자신을 사랑하는 것’과 같은 의미예요. 여러분도 자기 자신이 싫을 때는 사랑이고 연애고 뭐고 다 귀찮아지지 않나요? 그러나 자신의 일이 즐겁고 언제 어디서나 반짝반짝 빛나는 사람은 사랑을 귀찮아하고 사랑이라는 감정을 뒤로 미뤄놓지는 않아요. 혹시 지금은 못 하고 있더라도 항상 사랑을 기다리는 마음이 있지요. 연애의 감을 잡기 위한 첫 번째 스텝은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에서부터 시작해야 해요. 밥 한 끼를 먹더라도(물론 싱크대 구석에 서서 먹는 비빔밥도 맛있지만) 예쁜 그릇에 담아서 먹는 등 자신의 삶을 즐기는 자세를 가지는 거죠. ‘나도 내가 싫은데 누가 나를 좋아할까’, ‘난 카드 돌려막기나 하고 명품이나 좋아하고 남자가 뭐 좋아하는지는 관심 없고 연봉만 관심 있..
영화 中 Case1 베풂 여자 : 오빠, 나 화장품 다 썼어. 남자 : 그래? 내가 내일 사줄게. 오늘만 참아~. But! 2년 된 남자 : 다 썼으면 새로 사. 사는 김에 내 것도 좀 사고. -> 시간이 지나면 서로 익숙해져서 공동의 ‘돈’ 개념이 생긴다. 누가 누구에게 ‘돈’을 쓰는 것이 무의미해지거나 무감각해지게 된다. Case2 외모 여자 : 나 이 옷 어때? 잘 어울려? 남자 : 응, 우리 자기는 예뻐서 어떤 옷을 입어도 다 잘 어울려. But! 2년 된 남자 : 조금 안 어울리는 것 같은데? -> 칭찬에 인색해지는 시기이다. 혹은 그는 ‘입 발린’ 말을 하는 것이 귀찮아서 솔직히 말하는 것일 수도..?! Case3 음식 여자 : 나 요즘 살쪘나 봐. 그만 먹을래. 남자 : 전혀 안 쪘어. 한결..